조각가 인명사전

  • HOME
  • 조각가 인명사전

이완숙

작가 작품

가족.

37x30x38cm

꽃을든남자.

24x15x58cm

날다-19

37x18x67

두연인.

35x28x30cm

모자.

20x17x50cm

母子

20x17x50cm

빨간무늬의노란원피스.

24x23x45cm.

우산을든여인.

25x23x62cm

포옹.

35x38x35cm

휴식.

34x28x33cm

구름우산-날다.

49x23x96cm.2019

세상보기-날다.

24x59x58cm.2019

외출-19.

25x17x35cm.2019

우산을든여인.

25x24x60cm.2018.합성수지

행복.

20x15x33cm.2019

작가 프로필

개인전 (19회)

2020.08 “나만의 삶을 찾아서” ㆍㆍㆍ 아줌마의 비상 (KOSA갤러리, 서울)
2019.11 이완숙 조각전 (구암갤러리, 춘천)
2019.10 서울국제조각페스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19.04 이완숙 조각전 (서울가톨릭신학원)
2018.12 이완숙 조각전 (갤러리한옥, 서울)
2018.11 인터뷰전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18.05 서울국제조각페스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8.06 이완숙 조각전 (우모하갤러리, 용인)
2017 문화공간100 (근화동집, 춘천)
2015 미술시장축제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14.11 사랑으로(갤러리안젤리코, 춘천)
2014 아트캠페이지2014 (춘천역 켐프페이지, 춘천)
2011.12 LOVE-ing 11 (춘천미술관, 춘천)
2010 청년작가田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09.02 이완숙 조각전 (큐브스페이스, 서울)
2008 강원아트페어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07 이완숙 성물전 (갤러리소나무, 춘천)
2004 이완숙 조각전 (서목화랑, 춘천)
2004 서울시립미술관600년기념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작가 노트

								

평론


                     “나만의 삶을 찾아서” ㆍㆍㆍ 아줌마의 비상

다리도, 팔도 굵고 짤막하니 6등신이나 될까 싶다. 하지만 볼수록 정겹고 웃음을 주는 푸근한 모습이다. 굵은 허리 하며 몸매랄 것 없는 펑퍼짐하고 터질 것 같은 몸집이 영락없이 아줌마, 아니 우리 어머니, 아내이다. 내가 아닌 누군가로 불리면서 살아온 상실의 나이테가 야속하기만 하다.

작가 이완숙의 작업에서 모처럼 외출에 나선 그녀의 발걸음은 들뜨다 못해 날고 있다. 봉인돼 있던 자신의 이름표를 가슴에 달고 쳇바퀴와 같은 삶에서 잠시 벗어나는 거다. 오랜 세월 억압돼 있던 꿈이 가스처럼 부풀어 올라 중력을 느낄 수 없다. 경직된 백안(白眼)의 눈이 이제야 풀리고, 양 볼의 홍조는 심장의 힘찬 박동을 전하고 있다.

동화 속 주인공 같은 ‘아줌마’ , 넋두리로 귀결된 수도 있는 불안한 현실을 강단 있게 헤쳐 가는 모습이 고무적이다. 몸에 꽉 끼고 소매가 짧아진 열정의 꽃무늬 블라우스가 보기에 안쓰럽지만, 이마저도 사랑스럽지 않은가.
이재언 미술평론가


Fly, gloomy soul, heavy body!
-On Lee Wan-Sook’s Solo Exhibition, 2019-

While the traditional esthetic standard of female bodies used to be one-eighth -headed, the women which Lee Wan-Sook created, all alike, are one-fifth headed, with short legs and stout trunks, which is far from the common esthetic standard. Lee highlights the corporeality through the exaggerated voluminous bodies like this. Another character of her works is of no facial expression. Contrary to her comical bodies, the faces of depersonalized character with no facial expressions show vain feelings of loss.
Wilhelm Lehmbruck, Alberto Giacometti, and some other sculptors of Expressionism brought the existential explanation, deforming the bodies into lengthened slim ones, however, Lee creates her existential works through plump, stout figures standing alone, which is paradoxically existential as well. The figures with exaggeratedly voluminous body wearing clothes with colorful patterns, and looking out with no facial expressions would rather attract us unexpectedly, The sculptures of family members or couples, even in their caressing poise, are static, therefore they convey only the feeling of blank individuals rather than family group.

As an artist connoted that his works are nothing but “results of struggling to fill his inner poverty, Lee’s plump and voluptuous artworks also have a function of healing the feeling of loss. We can fi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objects in the hands of the figures, which are hinted from the traditional stone sculptures in front of the old tombs. Among her new works born in 2019, some notable works are made out of cement, which were inspired by old stone figures. Cement is much more heavier material comparing with her previous synthetic resin. What does Lee want to tell us through those sculptures, including the static work entitled < Companion>, all of which are motionless with flowers or liquor bottles in both hands laid on the bosom?
Lee recalls the memories of her childhood which was carved when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