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가 인명사전

  • HOME
  • 조각가 인명사전

황인철

작가 작품

영원한생명-욕망(Eternal Life-Desire)

69x16x64cm

영원한생명-상생 01(Eternal Life-Living together 01)

103x1

영원한생명-숲 01(Eternal Life-Forest 01)

76x15x52cm

영원한생명-나무와 새 01(Eternal Life-Tree and bird 01)

50x14x62cm

영원한생명-여인상 01(Eternal Life-Statue of A Woman 01)

26x13x76c

생명-포근한 꿈(Life-Comforting dream)

63x27x36cm

생명의 노래(The song of life)

45x21x47cm

생명의굴레(The circle of life)

43x22x60cm

생명-그 찬미(Life-The Plaise)

32x24x42cm

생명-환희(Life-Joy)

34x22x85cm

생명-반려자(Life-companion)

258x90x420cm, 기업은행 상징조형물(수지)

서 있는 눈(Standing Eye)

8m, 대검찰청사 상징조형물. 전국공모1위 당선작

얼, 힘, 빛

11m, 새천년 조형탑-창원시 공설운동장 전국공모1위당선작

한마음한길

15m, 88고속도로 상징조형물

희망의 빛

15m, 미래에셋 서울 청계천변

작가 프로필

•중앙대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 대학원 졸업·
단국대학교 조형예술대학원 수료 ( ) 박사과정
•국내외 개인전 30 ( , , , , ) 회 서울 뉴욕 시카고 파리 후꾸오까 등
2 4 ( 2 ), 680 인전 회 썬앤문 초대 인전 외 초대 및 단체전 여회
•2012< >, 올해 미술가상 기념초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6, Merchandise Mart, 아트페어 초대전 시카고
•< >, , 한국과 독일의 만남전 슈튜트 가르트 시청 독일
•2005, , 서울 국제 아트페어 초대전 예술의전당 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역임
•2012 올해의 미술가상 및 대한민국 문화대상 수상
•제 회 17 ( ) 경기예술대상 수상 미술부문
•대검찰청사 상징조형물 공모 1위 당선 및 설치
•새천년 조형탑 전국공모 1위 당선 및 설치
•88 1 고속도로 상징조형물 전국공모 위 당선 및 설치
•2009 안산국제아트페어 운영위원장 및 대회장
• 중앙대학교 예술대 학장 및 예술대학원 원장 역임
• 현 중앙대학교 ) 예술대학 명예교수
한국 미술국제교류협회 회장
지구촌 미술 협회 이사장
( ) 사 문화예술교육협회 이사장

작가 노트

								

평론


                    황인철 (黃仁喆)

작가 황인철은 1952년 경남 함안에서 출생, 마산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예학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단국대학교 조형예술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지금까지 19회의 국내 외 (서울, 뉴욕, 파리, 후쿠오카 등) 의 개인전과 4회의 2인전, 그리고 시카고 국제아트페어, 파리 MAC 2000아트페어, MANIF 서울 국제아트페어, KIAF 한국 국제아트페어를 비롯한 50여회의 국제전과 350여회의 초대 및 단체전에 출품한 바 있다. 또한 2005년 제 17회 경기예술대상 수상과 중앙대학교 학술상 및 다수의 수상경력이 있으며 1994년 대검찰청사 상징조형물 지명공모에 당선하여 ‘서있는 눈’ 이란 작품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99 밀레니엄 국제아트전 조직위원장, ‘2002 안성국제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장, 제 47회 서울시 문화상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사)지구촌 미술협회 이사장과 (사)한국미술협회 이사, 국제안산아시아 아트페어 부위원장, 지성의 펼침전 운영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예학과 교수와 중앙대학교 예술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Artist HWANG, IN-CHUL was born in Gyeongnam Haman in 1952. He graduate from Masan middle and high school, Chung-ang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d finished PhD degree. He had 19 times solo exhibition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country(Seoul, New York, Paris, Fukuoka etc.) and 4 times 2-artists exhibitions. He had about 50 times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350 times Invitation and Group Exhibitions such as Chicago International Art Fair, Paris MAC 2000 Art Fair, MANIF Seoul International Art Fair, KIAF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He got prizes at 2005 the 17th Gyeonggi Art Grand Prize and Chung-ang University Science Award etc. Also he won a prize at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s symbol statue and installed . He has career as a judge and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f the Korean Art Grand Exhibition, organization chairman of 99 Millenium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2002 Ansung International Art Festival management chairman, judge of the 47th Seoul City Culture Prize etc. The present, He is the chief director of Giguchon Art Association, director of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vice-chairman of International An-san Asia Art Fair,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f Opening of Intelligence Exhibition etc., professor of Chung-ang University and the head of Art Institute of same university.




영원한 생명의 시뮬라크르

글|최광진(미술평론가, 예술학박사)


인간이 갖고 있는 가장 치명적인 아킬레스건은 죽는 다는 것이다. 아무리 잘생기고, 박식하고, 명예가 높고, 재산이 많아도 100년을 채우기가 힘든 것이 인간사이기 때문이다. 인류의 역사는 인간의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역사이며, 유한(有限)한 생(生)에서 무한(無限)을 찾고자 하는 몸부림인 셈이다.
과거 고대인들의 주술적 의식에서 오늘날의 고등종교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유한한 삶을 초월한 영생을 꿈꾸어 왔고, 그에 대한 비전을 그려왔다. 인간의 학문 역시 일시적으로 변하는 자연에서 변치 않는 규칙을 찾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영생의 또 다른 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진시황의 불로장생의 야망에서부터 십장생(十長生)을 그려 영생을 기원했던 우리 조상들의 소박한 꿈에 이르기까지 불로장생을 꿈꾸는 인간들의 소망은 어느 시대, 어느 민족, 어느 계층에게나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어 왔다.

황인철의 작품들은 일관되게 시대를 초월한 인류의 화두인 ‘생명의 영원성’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진 그의 작품들은 그동안 가시적인 복잡성 이면에 내재해 있는 생명의 원초적 형상을 추출하여 조형화 하는 작업으로 일관되었다. 그 형상들은 대개 풍요로운 여성의 가슴이나 엉덩이 등을 암시하는 유기적인 형상으로 추상화되었고, 모든 생명을 잉태할 듯한 모성적인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청동의 매끈한 질감과 풍부한 양감, 그리고 섹시한 윤곽선은 황인철 조형물의 트레이드마크처럼 되어 왔다.
조형적으로 즉흥적이고 세련된 감각이 돋보이는 이러한 작품들은 현대조각의 역사에서 보면 혈통적으로 브란쿠시나 아르프의 추상조각과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 루마니아 태생의 조각가인 브란쿠시(C. Brancusi)가 1910년대 시도한 <마이아스트라>(후에 ‘공간의 새’로 바뀜) 같은 작품들은 로댕의 표현주의적 조각의 영향에서 벗어나 매끈한 청동상으로 수직으로 비상하는 타원형의 새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이것은 사실주의 조각이나 표현주의 조각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준 사건이었고, 시각 너머의 본질적 형상을 포착한 그의 시도는 현대조각의 새로운 땅을 개척하는데 기여했다. 20세기 이후 추상조각가들은 적어도 그에게 크고 작은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황인철 작품의 보다 직접적인 선조는 브란쿠시보다 아마도 프랑스 태생의 조각가 아르프(J. Arp)일 것이다. 특히 1930년대 순수하고 간결한 생명의 본성을 형상화한 아르프의 청동조각은 추상화된 유기적 형태와 유연하고 유기적인 곡선, 그리고 풍부한 볼륨감 등을 형상화 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는 황인철 조각의 혈통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그늘로 작용해 왔다. 만약 황인철의 작품이 아르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나온 것이라면 그는 피해자일 수 있다. 물론 아르프와 다른 차별화는 얼마든지 있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역사를 기술하는 비평가나 미술사가의 평가는 그렇게 섬세한 차이를 부각시킬 정도로 관대하지 못하다. 브란쿠시에서 아르프, 그리고 헨리 무어에 이르는 서구 현대 추상조각의 흐름은 황인철 작품의 조형적 완성도와 별개로 그의 입지를 좁게 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황인철의 최근 작품은 그들의 그늘에서 완연히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의 최근 작품들에서 보이는 두드러진 변화는 그동안 집착했던 원초적 형상들이 어떤 구체성을 띠고 등장한다는 점이다. 그 형상들은 대개 새, 물고기, 소 같은 동물들과 때론 인간의 얼굴 등을 상기시키지만, 어떤 특정한 대상들에 종속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개성체들이 결합하여 기묘한 형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이질적 결합은 우리의 상식적인 구분을 와해시키고 중성화된다. 가령 사람과 물고기가 결합되어 사람 같은 물고기인지, 물고기 같은 사람인지 구분할 수 없게 한다든지, 혹은 새와 소가 결합하여 새 같은 소인지, 소 같은 새인지 구분이 안 되게 한다. 또 어떤 것들은 동물과 식물이 결합되어 식물 같은 동물처럼 보이기도 하고, 동물 같은 식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떤 대상을 암시하게 하면서 동시에 그것이 하나의 지시 대상에 종속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 그의 최근 작품들에서 드러나는 전략이다. 이러한 변화는 개념적으로 커다란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작품이 본질적 형상에로의 환원이라는 모더니즘적 강령을 따랐다면, 최근 작품들은 그 본질적 형상들이 서로 다른 형상들과 이질적 결합을 통해 어떤 구체적 생명체들을 탄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그의 관심과 의식이 환원에서 확산으로, 본질에서 구체로, 보편에서 특수로, 거대서사에서 소서사로 전환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그렇게 작가 특유의 우뇌적 상상력을 통해서만 가능한, 기묘한 이종교배에 의해 탄생된 특수한 생명체들은 본래의 고유성을 상실하고 새로운 생명력에 귀속된다. 그럼으로써 그것들은 재현적 기능에서 벗어나, 현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시뮬라크르(가상물)로 탄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뮬라크르로서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경직된 환원주의를 벗어나 새로운 활기를 던져주고 있다.

포스트모던시대 인문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시뮬라크르(simulacre)는 플라톤이 생각했던 것처럼 단순한 복제의 복제물이나 단순한 흉내나 가짜의 차원을 넘어선다. 후기 구조주의자 중 한 사람인 들뢰즈(Gilles Deleuze)가 주장했듯이, 오늘날 시뮬라크르는 이전의 모델이나 모델을 복제한 복제물과는 전혀 다른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며, 모델을 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모델을 뛰어넘어 새로운 자신의 공간을 창조해 가는 역동성과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이고, 순간적이고 지속성과 자기동일성이 없으면서 인간의 삶에 변화와 의미를 줄 수 있는 사건들이다.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말대로, 오늘날 포스트모던한 소비사회는 이처럼 원본과 무관한 시뮬라크르들이 점차 증대되어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 여기서 재현과 실재의 관계가 역전되어 더 이상 흉내 낼 대상 원본이 없어진 시뮬라크르들이 실재 같은 초실재(Hyperreality)를 생산하게 된다. 이에 입각한 오늘날의 포스트모던한 미술은 그것이 모더니즘 이전에 추구한 ‘시각적 재현’이나 모더니즘이 추구한 ‘내면적 재현’ 같은 모든 재현의 잔재로서의 미술에서 벗어나 하나의 시뮬라크르가 되고자 한다.

최근 황인철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시뮬라크르적 특성은 아르프의 그늘을 벗어나 더 넓은 대지로의 발돋움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이 현실적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현실을 초월하고자 한 초현실주의자들과의 관계가 가까워진 것은 사실이다. 달리(S. Dali)나 미로(J. Miro) 같은 초현실주의자들이 주로 꿈과 무의식에 의존에 현실 초월적 세계에 도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면, 황인철의 경우는 일상의 소박한 기원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 된다. 그런 점에서 그의 작품은 민화적이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물고기나 비약하는 새, 돌진하는 소 등은 한국 민화에 나오는 십장생처럼 영생을 기원하는 소박한 꿈이 해학적으로 들어 있다. 그것은 현실을 초월하고자함이 아니라 현실을 즐겁게 영위하고자 함이고, 낙천적인 낭만의 소산이다.
이러한 개념적 변화는 양식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과거 환원적 개념 아래 등장했던 단순하고 풍부한 양감이 이제 이질적인 것들을 화해시키려는 의지로 인해 다소 선(線)적으로 변했다는 점이다. 즉흥적이고 자유로운 드로잉을 연상시키는 선들에 의해 형태가 이루어지다보니 과거보다 날카로운 면들이 많아졌다. 그럼으로써 과거의 정적이고 어머니 품 같은 푸근한 느낌은 약화되었지만, 대신 음악적 리듬감이 요한 스트라우스(Johann Strauss)의 ‘봄의 왈츠’를 듣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증폭되었다. 그것은 겨울의 오랜 추위를 견뎌내고 새봄에 싹을 피우는 생명의 활기이다. 그 생명의 리듬은 대상이 무엇이듯 영원성을 보장하는 듯하다. 그가 작품의 제목을 ‘영원한 생명’이라 붙인 것에서도 그런 의도가 엿보인다.

과거의 작품이 근원적 형상에서 생명의 본질을 찾고자 했다면, 최근 작품에서는 약동하는 자연의 리듬에서 인간과 동물, 식물들이 각기 개성을 초월한 음악적 생명성을 포착하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묘한 동물들로 탄생된 그의 시뮬라크르는 영원히 죽지 않는 생명의 노래를 은유적으로 상징하며, 그럼으로써 생명성의 추구라는 기존의 개념을 간직하면서 이시대적인 감수성을 성공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작품에서 보였던 조형적으로 안정된 완결성을 다소 희생하면서 불완전한 활기를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완전함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향후 몇 년간 그의 작품은 생기가 넘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면에서 최근의 그의 변모는 자칫 안주하기 쉬운 나이에 시기적절하고 성공적이었다고 여겨진다. 불안을 창출할 수 있는 작가만이 미래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Simulacre of Eternal Life
Writing|Choi, Kwang-Jin (Art Critic, Doctor of Arts)



The most fatal Achilles' heel a human being has is to die. However handsome, erudite, honorable, rich one may be, it is difficult for a human being to survive more than 100 years. Human history is the one that human beings writhe to overcome such a weak point, and means a struggle to seek for infinity from finite life.
From the ancients' magic ceremony to today's high religion, human beings have dreamed of the eternal life that transcends the finite life, and have visioned it. It may be said, human science is also another vision of the eternal life in the sense that it is a work which unchangeable rules are sought from temporary changeable nature. From Emperor Qin Shihuang's aspiration (or perennial youth and longevity) to our ancestors' simple dream that the eternal life was wished drawing SipJangSaeng(ten objects symbolizing longevity: sun, mountain, water, stone, cloud, pine, herb of eternal youth, turtle, crane, and deer), the human desire for the perennial youth and longevity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every period, race and class.

Hwang, In-Chul's works are consistently dealing with the ?ternity of life?alled the human subject that transcends time and place. His works made of bronze have been consistently extracted the original form of life which is immanent in the inside of visible complexity, and shaped it. The forms have taken on abstraction as the organic figuration suggestive of mostly women's ample body (such as breast or hip, etc.), and showed a maternal image as if to conceive all life. The feeling of smooth quality and ample massiveness in bronze, and the sexy outline have become a kind of trademark in his plastic objects.
Looking at the history of contemporary sculpture, these works that impromptu and sophisticated sense looks better plasticall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abstract sculpture by C. Brancusi or J. Arp. Deviating from the influence of Rodin's expressionistic sculpture, the works such as Maiastra(later changed to ?ird in Space? of smooth bronze, produced in the 1910s by Rumanian sculptor C. Brancusi, made the image of an oval bird (flying vertically) into figuration. It was a shocking event to the persons familiar with realistic sculpture or expressionistic sculpture, and his attempt, which the true intrinsic form beyond vision is captured, helped to develop a new area of contemporary sculpture. It may be said that the abstract sculptors from 20th century owe much to him.

In Hwang, In-Chul's works, a more direct connection would be found from French sculptor Arp rather than Brancusi. Especially, we can see it from Arp's bronze sculpture of the 1930s where the original pure concise nature of life is shaped, in the point that abstractive organic shapes, smooth organic curved lines, ample massiveness, etc. were shaped. It clarifies the lineage of his sculpture, and at the same time has been worked against his own originality. If his work is created voluntarily without a direct influence by Arp, he would be a victim. Of course, there is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works, however critics who describe history or art historians are not generous to the extent that these delicate differences stand out. Separately from his plastic completion of art, the fact is that the flow of contemporary Western abstract sculpture has made his position narrow down.
However, the point that the recent work i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ir influence, is worthy of notice. The salient change shown in his recent works is that the basic shapes he sticked to are introduced having a certain concreteness. The shapes remind us of mostly animals such as birds, fish, cows and sometimes human faces, etc., but without subordinating to specific objects, they show odd shapes with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two distinctive objects. Such a heterogeneous combination makes our commonsense division collapse, and then becomes neutralized. For instance, due to the combination of humans and fish, we cannot distinguish whether these are human-like fish or fish-like humans. Due to the combination of birds and cows, we also cannot distinguish between bird-like cows and cow-like birds. And, some others look like plant-like animals or animal-like plants due to the combination of animals and plants as well.

His strategy shown in the recent works is that suggesting a certain subject, he doesn't make it subordinate to a direct subject. This change means a big conversion is being done conceptually. The previous works followed the general principles of modernism called the restoration into the true intrinsic form, while the recent works are creating certain concrete living things through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both the true intrinsic forms and other forms. It verifies the conversion of his interest and consciousness from restoration, the true intrinsic form, generalization, long description to diffusion, the concrete, specialization, short description, respectively.
The special living things, produced by the odd crossbreeding only possible through the imagination of right-brain peculiar to the artist, lose their own identity and then belong to new vitality. Accordingly, deviating from the reproductive function, they are created as simulacre(imaginary objects). His work as this simulacre is full of vital energy, deviating from the rigid reductionism of modernism.

As Plato thought, simulacre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postmodern humanities, which is beyond the reproduction through simple duplication, or the mere imitation or counterfeit. Among the post-structuralists, as Gilles Deleuze asserted, today simulacre has independenc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odel or the reproduction that a model is duplicated. And including identity, it has dynamics that creates its own new space beyond the model, not duplicate a model. It is all the events happening in the universe. It is momentary and the events that can give the change and meaning to human life without continuation and self-identity.
As Jean Baudrillard said, in today's postmodern consumption society, the simulacres that have no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dominating our life. Here, the relation of reproduction and reality is reversed, and then the simulacres that have no original work to imitate anymore come to produce Hyperreality like reality. Based on it, today's postmodern art tries to be a simulacre, deviating from art as vestiges of all the reproductions such as ?isual reproduction?(pursued before modernism) or ?internal reproduction?(modernism pursued).

The characteristic of simulacre shown in the recent Hwang, In-Chul's work, means an advance toward wider art world beyond the influence of Arp. However, in the sense that it is not a realistic object, the fact is that it is close to the relation with surrealists. Assuming the surrealists like S. Dali or J. Miro had the goal that they arrive at the surrealistic world depending on mostly dream and unconsciousness, that of Hwang, In-Chul is differentiated in the point that the simple daily prayer tries to be realized. In such an aspect, his work is folk painting-like. Like SipJangSaeng in MinHwa(Korean folk painting), the objects appeared in his work (such as fish, flying birds, rushing cows, etc.) humorously contain a simple dream that eternal life is wished. It does not mean to transcend reality but to lead a pleasant life, and is a product of optimistic romanticism.
Such conceptual change has brought many changes in style, and the most salient change is the point that the feeling of simple and ample massiveness shown under the conception of the past restoration, has changed into somewhat linear character due to the volition that intends to reconcile heterogeneous things. Since the shapes were formed with the lines that remind us of impromptu free drawing, the sharp planes hav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past. As the result, the past static and comfortable shelter-like feeling was weakened, instead musical rhythmic sense was lively amplified as if to listen to the Voices of Spring Waltz by Johann Strauss. It is the vital energy of life that buds sprout in spring after a long cold winter. The rhythm of life seems to ensure eternity regardless of the objects. Such intention can be seen even from his naming the title of work ?ternal Lif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f the previous work tried to seek the essence of life in the fundamental form, the recent work shows that from the rhythm of alive nature, humans and animals and plants are capturing the musical vitality that transcends their own originality. Therefore, his simulacre created with odd animals symbolizes the song of eternal life metaphorically, consequently this periodic sensibility is being successfully secured along with the existing concept called the pursuit of vitality.
In this change, the plastically secured completion shown in the previous work is somewhat sacrificed, while incomplete vital energy is selected. But,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uch incompleteness, that his work will be full of vitality for several years to come is expected. Accordingly, his recent transformation seems to be timely and successful, considering his age easy to lead a comfortable life, because the future is ensured only for the artist who can create insecurity.



피안을 응시하는 도약의 상징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들의 제왕 파라오를 조각으로 형상화하면서 조각가를 ‘무기물에 생명을 불어넣는 창조자’로 간주하여 몹시 존경했던 것 같다. 조각을 포함한 미술은 일종의 감정이입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조각가의 작업은 그 자체가 나무나 돌이든, 혹은 금속재료이든 무감각하고 생명이 없는 매재에 감정을 투사하여 유기적인 생명체를 조성하는 감정이입이다. 물질에 정신을 불어넣는 과정의 결과적 산물로써 예술품이 탄생한다.

금속공예에서 출발하여 환경조각으로까지 전환한 황인철의 작품세계는 드라마틱하다. 한 장르에 안주하지 않고 궤도를 달리 한 여정이고, ‘금속 조형’에서 ‘환경 조형’으로, 두 분야를 넘나들며 아우른 분기점의 복합이다. 공예(craft)와 조각(sculpture)은 그 기능적 측면에서 실용적 기물·도구라는 관념과 감상용 조형물이라는 상호 분리되는 관념으로 읽혀지고 있지만 그 뿌리는 일심동체이다.
비록 영역은 달라졌을지라도 원천적으로 둘 사이를 탄탄하게 잇는 질료로써 금속의 속성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일찍부터 금속의 가공 기술을 터득하여 거푸집의 틀에 의한 공정의 주조법을 반복하는 동안 금속공예가가 금속조각가로도 변신할 수 있는 여건은 얼마든지 주어졌을 터이다. 이 작가의 남다른 금속 사랑은 그 매재를 기반으로 공예와 조각이라는 양 영역에서 반응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초반에 열렸던 황인철의 첫 개인전은 물론 금속공예로서 출발한다. 그런데 이 작가가 펼쳐 보인 것은 실용을 목적으로 하는 생활용기로서의 공예와는 이완된 듯한 조형물이었다. 당시의 일반적인 추세가 그렇기도 했지만 공예는 이미 쓰임(用)이라는 개념을 떠나 이른바 순수미술이라고 부르는 범위로까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 시점이었다. 이 첫 개인전에 부쳐진 전시 명칭이 ‘금속조형전’이다. 그 당시 평론가 이일 교수가 지적했듯이 황인철은 일찍부터 공예라는 특정 장르로부터의 이탈이라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 왔는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공예라는 당초부터 인연이 먼 매우 대담한 실험적인 시도를 보여 왔다’는 것이다. 금속 조형→환경 조각이라는 예정된 수순을 단숨에 뛰어넘어 그는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황인철의 작품세계 전환기에 명제로 내세운 일관된 개념은 ‘생태’, ‘생성’, ‘생명’이었다(이일 교수는 그것을 ‘유기적 원초주의’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묶었다). 거기에는 은연중에 ‘삶’이라는 보다 근원적인 의미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유기적인 생명체의 어떤 특정 부분을 형상화하여 추상적으로 변조시킨 것 같은 형태가 출발점에서 떠오른다. 대부분 곡면의 덩어리(매스)로 처리된 형태는 꼬이고, 비틀어지고, 혹은 호응하듯 요동치는 긴 여운으로 다가선다. 그 유연한 곡면 덩어리는 여체의 특정 부위(예컨대 유방 따위)를 연상시키기도 하는데, 전반적인 작품 기조는 조각에 있어서의 기본적 단위, 구조체, 우연성, 초현실주의적 발상과 일치하는 면이 많다. 필자는 작가가 추구하는 조형성이 헨리 무어, 콩스탕탱 브랑퀴지, 쟝 아르프 같은 조각가의 작품에서 제작적 동인이나 유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들 20세기의 현대 조각가들은 원시 조각의 재발견에서 하나의 모멘트를 얻었다. 그런데 원시 조각의 야만성이라기보다는 거기 내포된 형태의 단순함과 응집성에 관심이 끌렸던 것이다. 따라서 원시적이라기보다 원초적이라는 말이 더 적합할 이들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적 특성은 원초주의의 전형을 이루고 있는데, 황인철의 작품 성향 역시 이 계열에 부합된다.
이 시기 황인철의 작품 형태는 여체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관능적인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부풀어 오르고 튀어나온 부분과 안으로 움츠러들고 동공인 부분의 양과 음의 조화와 운동성이 표출된 형태로서 이다. 이러한 형태적 감각의 근원은 멀리는 마이욜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지만, 에로틱한 격정을 무마시키는 요소는 금속성의 매재가 지닌 비정한 냉랭함이다. 부드러운 곡선과 육감적인 형상은 매끄러운 금속 표면에 응집되고 합성화 되었다.

환경조각이라는 틀에서 관점을 논한다면 황인철의 조형세계는 그것이 비록 소품일지라도 열려진 공간을 확보했다고 말할 수 있다. 엔바이런먼트, 즉 환경이라는 말 자체가 에워싸기를 뜻하는 것임에 비추어, 조각은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의 한 주체로써, 환경적 요인으로써,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가치를 창출할 채비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1994년 대검찰청 상징조형물 지명 공모에서 1위를 차지한 작가의 작품 <서있는 눈>이 환경조형의 첫 시금석이 되었을 것이다.

「역사의 눈」 「불사조(不死鳥)」 라는 새로운 테마로 무장하고 출범하는 황인철의 근작 조형세계는 완전히 일신된 모습으로 새로운 전기(轉機)를 맞고 있다. 그것은 종래의 볼륨을 위주로 한 양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깎고 다듬어 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예리한 선각의 교차를 병행하면서 무의식적이며 우연적인 형태를 전개시켜 간다. 작품의 핵심적인 포인트는 눈의 형상을 상징하는 나선의 소용돌이 문양과 그로테스크한 새의 형상-불사조라고 할 수 있다.
눈은 말할 것도 없이 모든 유기적인 생명체의 살아있음(생존·존재)을 증거하는 명백한 중추(中樞)로서 외부 세계를 인지하는 열려진 창이다. ‘역사의 눈’이라고 했을 때 거기에는 보다 차원 높은 형이상학적 개념이 첨가된다. 불사조’, 즉 피닉스는 원래 고대 이집트의 전설에 등장하는 성스러운 새, 그리고 태양신 라(Ra)의 화신으로 생각되던 신성동물이다. 그것이 기독교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상징하게 됨에 따라 승화된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눈과 불사조가 중심 주제인 작가의 작품 발상은 그러므로 궁극적으로는 작가가 지향하는 지고한 이상향을 예술관으로 삼아 작품 속에 발현시키려 한 의도를 헤아릴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모든 예술이 그런 것은 아닐지라도 예술이 시원적 형식에서는 주술적인 면이 강조되어 왔다. 눈은 끊임없이 피안(彼岸)을 응시하며, 불사조는 현세를 넘어서는 도약의 상징이다.

황인철의 작품 전반적인 형식은 바닥에 놓여졌다기보다 웅비(雄飛)를 은유하듯이 수직으로 상승하는 자태를 견지한다. 지상과 밀착된 관계가 아니라 그것을 벗어나 도약하는 몸짓인 것이다. 불사조의 형태는 가상의 형상인만치 구체적인 유기물(새)에 포박된 형상이 아니다. 언제든 자유스럽게 날아갈 수 있는 자세인 것과 마찬가지로, 형상의 면면도 다채롭게 변주되어 만들어지고 있다.
황인철의 근작 조형작품은 종전에서부터 견지해 온 생명률(生命律)을 그대로 고수하는 생명적 존재임을 명시한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곡선적인 형태의 볼륨을 지양하는 일층 직선적 즉자적으로 처리된 다면적인 구성성의 결구(結構)로서 기하학적인 구조원리에 의해 통합시키고 있는 점이다. 복잡한 공정의 성형 과정을 통하여 우연성을 동반하고 조성된 작품양식은 전례 없이 심플하고 원숙한 경지를 보여준다. 공예적인 기교주의를 서서히 불식하고 조각 본연의 면모가 살아나면서도 손(手)의 작업임을 강조하는 수공적인 집념은 한결같다. 조형 예술가로서 황인철은 지속적이다. 브론즈에 담아내는 그의 작업은 견고하다. 어떠한 명분에도 구애받지 않는 그는 여전히 공예가이자 조각가로서 주어진 본분을 지켜가고 있다.


세계의 地盤, 그 母胎로의 回歸

황인철은 금속공예의 정통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조각개념과의 합일을 거쳐, 결과적으로는 공예지평의 확장이라는 과제와 씨름해 왔다. 근본적으로는 ‘母胎의 回歸’라는 말로 압축, 요약할 수 있다.

1992년 황인철 금속조형전 평론에서 윤진섭 (미술평론가)


유기적 원초주의(原初主義)의 조형세계

인체, 특히 여체가 그것이다. 그것이 반드시 형상적인 것이 아니라 때로는 은유적인 것이라 치더라도 그 모티브가 추상화되어 풍기는 브론즈 특유의 투명한 촉감은 차라리 육감적이기까지 하다. 뿐만 아니라 황인철의 조형적 기본특성으로서의 시작도 끝도 없는 매킴없는 율동적 곡선의 묘미는 조각가 황인철의 본질적 특성으로서 앞으로도 길이 간직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1995년 황인철 환경조형전 평론에서 이 일 (미술평론가)


원초적 형상과 유기적 구조의 통합

황인철의 화력을 보면 실험적 작업을 계속적으로 실천해 온 작가임을 알 수 있다. 그는 무엇보다도 부지런한 작가이며 다작(多作)을 실행해온 정력의 소유자이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그의 작업에 보편적인 장르의 영역과 그를 둘러싼 방식에 국한하지 않고 작품에 자신을 맡김으로써 의도성과 우연성을 동떨어진 것으로 보지 않는 거리를 유지시켜주고 있다. 사실 그의 작품들은 하나의 일관된 방법상의 논리를 통해 전 시기의 작업을 비평해 내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조각이나 공예 그리고 설치 등 제각기 다른 표현 영역들의 형식과 내용 사이의 투명성을 흐려 놓음으로써 장르파괴의 위세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 황인철 환경조형전 평론에서 김영호 (미술평론가)


황인철의 작품, 격정과 토로의 세계

육감적인 선과 그 선으로 인해 양감을 지니는 불룩한 부분들, 이것이 황 인철 작품의 특징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양식상의 어떤 매너리즘도 찾아보기 힘들다. 선과 양감의 구비치는 놀라운 처리는 하모니를 향한 그의 욕구를 일러준다. 이는 동시에 상징의 과도한 지배로부터 벗어나겠다는 단호한 의지의 결과이기도 하다.

2005년 서울 국제 아트페어 평론에서 제라르 슈리게라 (프랑스 미술평론가)


영원한 생명의 시뮬라르크

황인철의 최근 작품들에서 보이는 두드러진 변화는 그동안 집착했던 원초적 형상들이 어떤 구체성을 띠고 등장한다는 점이다. 그 형상들은 대게 새, 물고기, 소 같은 동물들과 때론 인간의 얼굴 등을 상기시키지만, 어떤 특정한 대상들에 종속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개성체들이 결합하여 기묘한 형상을 띠고 있다.
작가 특유의 우뇌적 상상력을 통해서만 가능한, 기묘한 이종교배에 의해 탄생된 특수한 생명체들은 본래의 고유성을 상실하고 새로운 생명력에 귀속된다. 그럼으로써 그것들은 재현적 기능에서 벗어나, 현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시뮬라르크(가상물)로 탄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뮬라르크로서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경직된 환원주의를 벗어나 새로운 활기를 던져주고 있다.

2007년 황인철전 평론에서 최광진 (미술평론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