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가 인명사전

  • HOME
  • 조각가 인명사전

김시찬

작가 작품

서정대학교 설립자상

숨소리_휴식

The Sound of Breating-rest 65*538171cm, Bronze

숨소리

The Sound of Breating 79*74*111cm Bronze

숨소리

The Sound of Breating 65*53*171cm, Bronze

Configurazione d’ immagini-Desiderio zelantea

110*230*270cm, Legno

기원의형상2-가족

Form of supplication_Family 38*12*54cm, 오석

기원의형상_모정

Form of supplication_Matemal affection 57*20*46cm, 오석

기원의형상

Form of supplication 15*13*49cm, Bronze

기원의형상

Form of supplication 15*13*50cm, Bronze

기원의형상

Form of supplication 15*13*50cm, Bronze

기원의형상-우주

Form of supplication_Space 34*14*75cm, 오석

기원의형상-소망

Form of supplication_Wish 28*16*60cm, 오석

기원의형상2-가족

Form of supplication_Family 38*12*54cm, 오석

기원의형상_가족

Form of supplication_Family 22*41*90cm, Bronze

형상이미지_가족

27*31*108cm, Bronze

사랑

27*31*100cm, Bronze

부모산

30*16*15cm, Bronze

작가 프로필

☐ 현재
서정대학교 교수 및 국제디자인아트센터 센터장
서울특별시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 위원
사)한국미술협회 조각분과이사
사)한국미술협회 경기도지회 조각부분과위원장
사)한국조각가협회 공공미술분과 위원
사)한국미술협회 경기도지회 디자인분과위원장역임
사)전국조각가협회 부이사장역임

☐ 전시경력
개인전15회 및 단체전 150여회
2019. 2019 제8회 북경비엔날레 (중국 국립미술관)
2019. 2019 글로벌아트페어 싱가포르
(Marina BaySands, Expo Convention Center)
2018. 2018 대한민국 미술축전 KAFA 국제아트페어 (일산킨텍스)
2018. 서울 국제예술박람회 (서울 코엑스)
2017.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쇼핑아트페어(프랑스 루브르)
2016. 스푼아트페어 (일산 킨텍스)
2016.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국회회관 갤러리)
2016.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쇼핑아트페어,
2016. 어포더블 아트페어 서울2016-서울DDP
2016. 제3회 위드아트페어-서울 인터컨티넨탈호텔
2016. 국제조각 페스타 (서울 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
2016. 조각초대전(KBS 서울방송총국 갤러리)
2016. 조각초대전(세종시 정부종합청사.인사혁신처)

☐ 기타경력
2019 글로벌아트페어 싱가포르 최우수작가상
2017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
2017 IACC lnternatidnal Invional Exhibition /Rkwy Frisco Texas USA 대상
2005 대한민국 경찰청장상
2003 제22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구상부문 특선
2003 사)대전광역시 청년조각가상
2003 제16회 전국무등미술대전 대상수상 및 특선

작가 노트

								

평론


                    추상에로의 전환-단절/도약
김시찬 조각의 저변에는 그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형상화 해온 사물의 질서와 이의 존재론적
위상에 관한 작가 나름의 생각이 담지 되어 있다. 그것은 먼 과거에 대한 의식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가 하나의 시간성(temporality)에서 상충적으로 교차하는 가운데 얻어진 의식과 무의식의
산물이다. 또한 그는 늘 조각가 입장에서 조각의 존재가치와 그의 작품이 주변에 끼치는 파장, 그리고
이의 인식론적 위상은 무엇인가에 대한 자문자답을 통하여 표현 영역을 결정한다. 그것은 조각의
기원에서부터, 공간 차지, 개념, 형식과 내용, 조형요소와 작가의 기술적인 문제 등 조각과 관련된 모든
의미를 포괄하는 것이다.
우선 그는 조각이 언제 무엇 때문에 만들어 졌는가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작품을 시작한다.
이 물음에 대하여 당연히 우리는 로셀 동굴의 ‘각배를 든 비너스’나 ‘빌렌드로프의 비너스’ 등을 예로
들며, 구석기인들의 미의식 또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논할 테지만, 그는 인간의 기원을 찾는 쪽으로
방향성을 선회한다. 이것은 특정한 역사적 상황을 떠나서는 진리를 생각할 수 없으므로 진정한 가치는
시간과 무관할 수도 보편적일 수도 없다는 역사주의적 관점과 맥을 같이하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가 파악 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과거자체 만은 아니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변수에
의해 매개되고 연대기적으로 조직된 사실들을 통해 드러나는 인간의 행위와 이의 결과물들, 즉
예술작품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이다. 이때 그의 조각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비구상, 또는
추상적인 형태로의 전환이다. 조각은 생명과 직결되는 힘, 또는 힘과 힘의 긴장관계라는 역학구도
내에서 대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때문에 비구상적 이미지로 의식을 구체화 할 때는 보다 세심한 사유와
조형감각이 요구된다. 더욱이 이미 수년 전부터 탄탄한 구상작업으로 각종 공모전에서 세속적
성취감을 맛본 바 있는 그가 사실적 형태가 주는 매력과 이점을 포기하고 방향전환을 한 것은 어찌
보면 도박처럼 비쳐지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그가 형태의 단순화 또는 추상화를 통하여 내용을 표출하고 전달한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단절이자 도약이다. 그러나 브랑쿠지의 말대로 외부형태는 진실한 것이 아니고, 진실이란
사물의 정수를 말하는 것이다. 더욱이 그는 만물의 생성원리를 그것의 운동과 변화에 의거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사물의 운동과 변화가 야기될 수 있는 여러 조건들을 다양한 대립개념으로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 서술적 구체적 형상은 오히려 설득력을 잃게 되고 추상적 관념적 형상이 공감을 얻게 된다.
1) 김시찬 조각개인전 기원의 형상에 관한 소고 내용 중 발췌

Conversion-discontinuation/leap of abstraction
The beneath side of Kim’s sculpture has his ideas of natural order and its ontological position.
It is product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btained by the time when colliding with the
vague expectation of the cognition of far past and uncertain future.
He also behaves as a sculptor, so to speak, he decides on his expressional domain by soliloquies
which is ontological value of sculpture and effect of his sculpture and its epistemological position.
It includes every meaning related to sculpture like origin of sculpture, occupancy of space, concepts,

form and contents, plastic elements, technics of sculpture and etc.

First of all, he begins his works with the question of when and why sculptures are being made.

About this question, we, of course, give examples of pieces like 『The Venus with bison horn』
in Laussel cave or 『The Venus of Willendorf』, discussing each other about cavemen’s aesthetic
feelings or more radical problems.
But he turns the aim to finding the origin of mankind.
This can be seen as an attitude of historicism that is the idea of the real value is irrelevant, or
universal especially with time because truth couldn’t be thought apart from real historical situation.

But the thing that he wants to know is not just past itself. It is epistemological approach about art
works, which is the outcome of human behavior and itself through facts that is carried and
chronologically organized by the variable called time and space.
At this very moment, changing to nonobjective, or abstract form is the thing that inevitably appears in
his sculpture.
Sculpture is understanding the object in the dynamic structure of power being directly connected to
life, or strained relations between powers.
Since when materializing his consciousness to nonfigurative image, it needs careful thoughts and
plastic sensibility.
It seems like he did a gamble, because he already had tasted the secular accomplishment from public
art competition by compacted conception work.
But he gave up the attraction and advantage of realistic form and change the direction.

In this aspect, that he is express and convey the information through simplification or abstract of
form itself is one of discontinuation and leap.
However, we should remember the comments of Brancusi, “The shape is not a real thing, the truth is
the core of matters. “
In addition, Kim recognizes that the creative principles of various matters are caused by their
movements and diversity, and for he regards the many condition of movements, and diversity of
matters can be causable as various coordinate concepts.
In this case, narrative concrete form will lose its persuasive power, but on contrary, abstractive
spiritual form will gain its sympathy.

1) an extract from Kim Shi Chan’s Private Sculpture Exhibition
목록